- 테니스어원의 유래
테니스(Tennis)는 ‘받다(take)’라는 의미의 프랑스 고어인 ‘뜨네(tenez)’에서 유래되었다. ‘뜨네’는 서브하기 전에 외치는 말이었다. 프랑스의 게임인 ‘즈 드 뽐(Jeu de Paume)’으로 시작되었다. 잔디, 흙(clay), 인공적으로 만든 하드(hard) 경기장이 있다.
테니스는 중세 프랑스의 실내경기인 ‘Jeu de Paume’, 즉 손바닥 게임(palm game)으로 시작되었다. 이 경기는 일종의 핸드볼이었고, 성직자들이 교회나 수도원의 안뜰에서 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테니스(tennis)’라는 명칭은 서브를 넣기 전에 외치는 프랑스의 고어인 ‘뜨네(tenez)’에서 유래된 것이 거의 확실하다. 1292년까지 파리 시내에는 13개 정도의 테니스공을 만드는 공장이 있었으며, 대부분의 공은 양모(wool)에 면양의 가죽을 씌워서 만들었다.
- 테니스의 역사
손이 아니라 라켓으로 공을 치기 시작한 것은 16세기 중반 무렵의 일이었다. 공은 천 조각을 뭉쳐서, 그것을 가는 실로 감싼 다음, 다시 흰 천으로 전체를 싸서 단단하게 만들었다. 테니스은 왕을 비롯한 다수의 궁중사람들이 가장 즐기는 여가 활동이 되면서부터 인기가 높아졌다. 프랑수와 1세(Francis Ⅰ)는 테니스에 푹 빠져서 배에도 코트를 만들었다고 전해지지만, 아쉽게도 그 배는 가라앉고 말았다. 테니스는 프랑스에서 시작되어 전 유럽으로 퍼져나갔다. 그리고 16세기에서 17세기 사이에는 영국 전역을 장악하다시피 했다. 1873년 웨일즈 출신의 월터 윙필드(Walter Wingfield) 소령이 옥외 테니스를 창안했는데, 그는 공놀이(playing ball)라는 의미의 그리스어인 ‘스파이리스타이크(sphairistiké)’, 또는 론 테니스(lawn tennis)라고 명명했다. 그 즈음에는 고무공이 실용화되어, 잔디코트에서도 튀는 공이 만들어졌다. 1875년경에는 론 테니스가 상당히 인기있는 경기가 되었다. 올 잉글랜드 크로켓 클럽(All England Croquet Club)에서는 윔블던(Wimbledon)에 있는 그들의 코트 가운데 하나를 테니스를 위해 할애했다. 그리고 이듬해 이 클럽은 올 잉글랜드 론 테니스 앤 크로켓 클럽(All England Lawn Tennis and Croquet club)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1877년 그곳에서는 역사적인 윔블던 테니스 경기가 처음으로 개최되었다. 오늘날에 사용하고 있는 득점 방식은 중세에서 비롯된 것으로 거의 변화가 없다.
- 테니스 점수 계산 유래
시계의 문자판(clock face)이 득점을 기록하는데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게임에 이기기 위해서는 4포인트를 얻어야 하고, 득점은 60분을 4단위로 나눈 숫자로 표현했는데, 15, 30, 40이다. 원래는 45가 맞지만, 간략하게 하기 위해서 40을 사용했으며, 40 다음은 ‘게임’이다. ‘0점’을 제로(zero) 대신 ‘러브(love)’라고 말하는 것은 달걀을 뜻하는 프랑스어 ‘뢰프(l’oeuf)’가 잘못 사용된 것이거나, 혹은 테니스를 하는 사람이 득점에는 실패할지라도 이 운동에 대한 사랑으로 경기를 하겠다는 의미라고 한다.
- 테니스 코트에서 지켜야할 에티켓
첫번째, 상대방에 대한 에티켓을 위해 게임을 시작하기 전에 먼저 상대방과 인사를 나눕니다. 네트를 사이에 두고 가벼운 인사와 함께 라켓을 모아 인사를 하거나 가벼운 목례로 대신하기도 합니다. 동호인 대회나 모임에선 첫 서브를 넣기전 "안녕하세요!" 라고 인사를 합니다. 방금 만나서 하는 안녕하세요 라기 보다는 공을 들고 있는 사람이 '이제 시작하겠습니다' 라는 뜻으로 건네는 인사입니다. 두번째, 네트로 넘어가지 않습니다. 서로 코트의 위치를 바꾸는 과정에서 상대 선수를 배려하며 매너 있게 행동해야 합니다. 코트 체인지를 하면서 잠시 휴식을 취하거나 수분, 간식 등을 섭취 할 수 도 있는데 이때 중앙의 네트를 절대 넘어다니지 않도록 주의 합니다. 세번째로는 경기장 뒤나 옆 지나가지 않습니다. 경기 중인 다른 코트를 지나가야 할 경우에는 인플레이 상황에서는 포인트가 끝날 때까지 기다렸다 지나가도록 합니다. 랠리가 끝난 상태여도 베이스라인 뒤로 최대한 멀리 떨어져서 빠르게 지나가야 합니다. 코트를 가로질러서 건너가는 행위는 예의에 어긋납니다.
네번째, 심판 또는 리시버콜을 존중해야합니다. 심판이 있는 경우에는 심판의 판정을 따라야 하지만 보통의 동호인 대회나 친선 경기에서는 리시버콜을 우선으로 하기 때문에 리시버의 콜을 존중해줘야 합니다. 다섯번째, 감정 컨트롤 테니스는 생각보다 멘탈 관리가 중요한 스포츠 입니다. 경기 흐름에 따라 감정 컨트롤이 힘들 수 있지만 자신의 플레이에 화가 나더라도 나 스스로에게 욕하거나 라켓을 던지거나 하는 행위는 삼가야 합니다.
- 테니스 경기에서 지켜야할 관중 에티켓
선수들은 첫 게임 직후를 제외한 모든 엔드체인지와 세트 종료 후 각각 90초, 120초의 쉬는 시간을 갖습니다. 이 시간동안 관중의 이동도 허용됩니다. 화장실을 이용하려면 선수들의 쉬는 시간에 맞춰 이동이 가능하며, 볼일을 마무리 짓고 관중석에 돌아오지 못한 경우 다음 쉬는시간에 입장해야합니다. 테니스는 다른 프로 스포츠에 비해 정숙을 중요시합니다. 정숙하는 것은 테니스 관전의 기본 매너인데요. 서버가 베이스라인 앞에서 서브를 준비하는 순간부터 포인트가 결정될 때 까지 선수들이 집중할 수 있도록 야유,환호성 없이 조용히 해야 합니다.
심판이 아닌 관중이 라인판정 등의 콜을 하게 되면 선수들, 심판에게 큰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테니스 경기에는 주심,선심, 라인맨 등 있기에 자신의 눈에 판정이 잘못돼 보이더라도 콜을 하는 것은 삼가해야 합니다.테니스 경기장 특성 상 햇빛이 많이 드는 야외코트가 많습니다.
양산, 우산을 이용해 햇빛을 가리게 되면 다른 관객의 시야에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지양해야하고 모자, 선글라스 사용을 권합니다.
사진이나 영상촬영도 가능하지만, 경기에 방해가 되어서는 안되도록 무음촬영을 권장합니다. 촬영 소리에 의해 방해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렌즈에 빛이 반사되어 시야에 영향을 줄 수도 있으니 조심하셔야합니다.